자식 컴포넌트의 값을 통해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변경하는 방법 아래 화면의 Test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라고 하자. 위의 화면과 같이 _handleChange 함수에서 props.onSubmit에 state.hi의 값을 넣어준다. 부모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이 props.onSubmit에 자신의 함수를 바인딩해준다. 다음으로 부모 컴포넌트의 _testing 함수에서 props.onSubmit을 통해 받아온 값을 state에 입력한다. 이렇게 코드를 짜두면 자신 컴포넌트의 값을 통해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변경할 수 있다. 리액트에서 이게 가능하더라.... 위처럼 Tag라는 변수에 문자열 'h1'을 넣었을 때 다음처럼 는 태그로 변환되더라... 1.강화학습 기본 개념 1. 강화학습이란 ? (1) Reinforcement Learning (RL) : Learn to make good sequences of decisions → 순차적 결정을 잘하도록 학습하는 것. (2) Fundumental challenge in AI and machine learning is learning to make good decisions under uncertainty. → AI와 머신러닝의 가장 근본적인 도전은 불확실함 안에서 좋은 결정을 내리는 법을 학습하는 것이다. 2. 강화학습의 적용 예 (1) Atari : 이미지. 즉, 픽셀을 입력 받음. 출력은 점수(어떻게 해야 점수를 높게 할 수 있는가?) (2) Robotics : 입력은 물체의 위치 좌표. 출력은 Robot들의 각각의 목.. React-Express 연동에 관한 블로그 글 https://basketdeveloper.tistory.com/52 React와 Express 서버 연동 시키기 React로 토이 플젝을 진행 중인데 서버 코드가 필요하고 Express 서버를 사용할까 합니다. 간단하게 Express로 서버를 만들고 React와 연동 시켜보겠습니다. 연동 방법은 create-react-app v2에서 새롭게 추가된.. basketdeveloper.tistory.com WEB 배포 관련 팁들 1. Docker 명령어 정리 $ docker images #설치된 이미지 보는거 $ docker ps -a #컨테이너들 보는거 $ docker run -itd -p 5000:22 -p 5001:5001 -p 5002:5002 -p 5003:5003 --name [컨테이너 이름] ubuntu:base bash #port 매핑시키고 ubuntu:base라는 이미지로 컨테이너 만듬 $ docker exec -it task_dict bash #bash로 이 컨테이너를 실행시킴 $ docker commit task_dict task_dict:latest #우리가 만든 컨테이너의 이미지를 저장하는것 $ docker restart task_dict # 도커 재실행 => 컨테이너 꺼져있을때 다시 실행시키려면 이렇게 .. 7. 데이터 입출력 CSV 파일 입출력 입력 : read_csv() 출력 : to_csv() Excel 파일 입출력 입력 : read_excel() 출력 : to_excel() HTML 읽어오기 read_html() https://datascienceschool.net/view-notebook/c5ccddd6716042ee8be3e5436081778b/ Data Science School Data Science School is an open space! datascienceschool.net https://github.com/Se-Hun/MachineLearningStudy/blob/master/Python%20for%20Data%20Science%20and%20Machine%20Learning%20Bootcamp/03-.. 6. DataFrame Buil-in 함수 및 속성들 head() head() 함수는 다음과 같이 앞에서 5개의 행만을 보여준다. unique(), nunique(), value_counts() DataFrame의 조건 연산 apply()를 통해 함수 적용하기 DataFrame의 속성값들 : columns, index sort_values()를 통해 정렬하기 isnull()을 통해 null값 거르기 dropna(), fillna()를 통해 NaN값 처리하기 Pivot Table https://github.com/Se-Hun/MachineLearningStudy/blob/master/Python%20for%20Data%20Science%20and%20Machine%20Learning%20Bootcamp/03-Python-for-Data-Analysis-Pan.. 5. DataFrame 병합하기 merge()를 이용한 병합 merge 명령은 두 데이터 프레임의 공통 열 혹은 인덱스를 기준으로 두 개의 테이블을 합친다. 이 때 기준이 되는 열, 행의 데이터를 키(key)라고 한다. 우선, 다음과 같은 DataFrame이 있다고 하자. 다음과 같이 on 파라미터에는 기준이 되는 열을, how 파라미터에는 방식을 넣으면 병합시킬 수 있다. 이 때, how 파라미터에 들어가는 inner 방식은 양쪽에 키가 모두 존재해야만 병합시켜주는 방식이다.(default 값은 inner방식임) 반대로 outer 방식은 한쪽에 키가 존재해도 병합시켜주는 방식이다. how 파라미터에는 outer방식과 inner방식 외에도 left방식과 right방식이 올 수 있다. left는 왼쪽 데이터 프레임의 키 값을 모두 반환해.. 이전 1 2 다음